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 소개

[봄] 나비

나비

 

   호랑나비




 

정의

 

나비목에 속하는 곤충 중 낮 동안 활동하는 무리의 통칭.






내용


나비는 한자어로는 호접(蝴蝶)·협접(蛺蝶)·접(蝶)이라 하였고, 분접(粉蝶)·압접·달말(橽末)·서(胥)·옥요노(玉腰奴)·옥비전(玉飛錢)·풍접(風蝶)·봉자(鳳子)·봉차(鳳車)·귀차(鬼車)·촌이래(村裏來) 등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말로는 1481년에 나온 『두시언해』에 ‘나비’ 또는 ‘나뵈’로 나오고, 1527년에 나온 『훈몽자회』에는 ‘나뵈’로 나오며, 숙종 때 나온 『시몽언해물명』에는 남ᄋᆡ로 나온다. 그 뒤부터는 ‘나뵈’ 또는 ‘나비’로 불리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예전에는 오늘날의 ‘나방’에 해당되는 우리말은 없었던 것 같고 이 경우에도 ‘나뷔’라고 하였다.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므로 구북구계(舊北區系)와 동양구계(東洋區系)의 나비가 함께 살고 있어서 면적에 비하여 나비의 종류가 많은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나비는 8과 248종으로 이 가운데 7종은 길을 잃었거나 우연히 생긴 것이다. 전세계에는 약 2만 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비에 관한 속신(俗信)은 나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른 봄에 흰나비가 집안으로 들어오면 그 집에 초상이 난다고 하고, 제일 먼저 흰나비부터 보면 소복을 입게 된다고도 한다.


민요가사 중에 “백설 같은 흰나비는 부모님 거상을 입었는 듯/장다리 밭으로 날아든다.”는 구절은 이 같은 흰나비에 대한 관념을 표현한 것이다. 반면에 호랑나비는 좋은 조짐으로 인식되었다.


아침에 호랑나비를 보면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하고, 이른봄에 호랑나비를 보면 신수가 좋다는 말이 있다. 그 밖에 나비가 불에 뛰어드는 것을 보면 패한다고 하며, 나비를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면 눈이 먼다는 금기도 있다.






* [출처: 나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