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개
[겨울] 붕어빵
붕어빵
붕어빵
정의
밀가루 반죽에 팥소를 넣고 붕어 모양의 금속 틀에 구워낸 빵. |
내용
우묵한 금속 틀에 밀가루 풀처럼 묽은 밀가루 반죽과 팥소 따위를 넣어 구운 음식을 풀빵이라 일컫는다. 붕어빵은 풀빵의 하나로, 밀가루 반죽에 팥소를 넣고 붕어 모양의 금속 틀에 구워낸 음식이다. 한국 길거리음식을 대표하는 간식으로, 외형이 붕어를 닮아 ‘붕어빵’이라고 부른다. 붕어빵은 1930년대 일본에서 ‘타이야키たいやき’라는 전통과자가 조선에 전해지면서 시작되었다. 타이야키는 도미 모양의 금속 틀에 밀가루를 물로 갠 반죽을 넣고, 팥소를 사이에 넣어서 구운 과자이다. 일제강점기에 타이야키가 소개된 이후, 1945〜1948년의 해방 공간을 지나면서 풀빵 형태의 간식으로 서민들에게 점차 수용되어 갔다. 6·25전쟁 이후 항구와 도시에 미국에서 들어온 원조 물자로 인해 밀이 풍부해졌고, 자연스럽게 큰 자본과 특별한 기술 없이도 만들 수 있는 풀빵 장수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 붕어빵은 간편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허기를 달랠 수 있어 인기 간식으로 자리 잡아 갔다.
한편 서울 올림픽(1988)을 앞두고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붕어빵은 도시 길거리에서 사라지기 시작하였으나,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과 함께 붕어빵은 도시에서 다시 모습을 보였다.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다시 붕어빵을 팔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혹자들은 붕어빵 판매량을 불황의 지표라고 인식하기도 한다.
초기 붕어빵은 단순히 팥소만을 넣어 만들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반영한 다채로운 붕어빵이 등장하였다. 현재는 팥이 든 붕어빵 외에도 슈크림 붕어빵, 초코 붕어빵, 명란마요 붕어빵, 옥수수 붕어빵, 피자 붕어빵 등 이색적인 붕어빵이 판매되고 있다. 재료뿐만 아니라 형태의 변형을 시도하여 붕어빵의 크기를 작게 만든 ‘미니 붕어빵’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붕어빵은 추운 날에 인기가 많아 주로 겨울철에 판매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제는 계절과 관계없이 판매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과거 붕어빵 노점이 한국인의 일상적 풍경에 자리하고 있었다면, 현재는 도시 정비 및 미관의 문제, 인건비와 재료비의 상승 등을 이유로 동네의 붕어빵 노점은 줄어들고 주로 관광지와 같은 특정한 장소의 길거리 혹은 상점에서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붕어빵은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대표 간식 중 하나로, 이들은 서울 인사동, 부산 남포동, 대구 동성로 등 주요 관광지와 시장을 찾아 다양한 붕어빵을 맛본다. 예를 들어, 인사동에서는 전통적인 팥소 붕어빵을, 부산에서는 해산물을 첨가한 붕어빵을 맛볼 수 있다.
한편, 붕어빵과 관련하여 표현 및 신조어가 생기기도 하였다. 붕어빵은 붕어 모양의 금속 틀에 구워내었기 때문에 모두 똑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서는 부모와 자식이 똑 닮았을 때 ‘붕어빵이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최근 젊은 세대들은 붕어빵을 판매하는 노점의 위치에 대해 새로운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붕어빵 노점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하며 소비자들은 동네의 붕어빵 노점의 위치를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공유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붕어빵을 파는 노점 인근 권역’을 뜻하는 ‘붕세권(붕어빵+역세권)’이란 용어가 등장하며, 붕어빵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붕어빵 파는 곳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특징 및 의의
붕어빵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단순한 간식을 넘어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음식이다. 일제강점기에 등장한 붕어빵은 광복 이후 대중 간식으로 자리 잡으며 한국 사회에 수용되었다. 6·25전쟁 시기 붕어빵은 피란민의 허기를 달래주었고, 경제성장기에는 바쁜 사람들의 허기진 배를 든든하게 채워 주었다. 또한 IMF 구제금융 요청 때에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붕어빵 노점 운영을 시도하며 재기를 꿈꾸기도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붕어빵은 시대의 변화와 서민들의 삶을 반영하며, 한국인의 집단적 기억과 정체성 형성에 상징적 의미를 가진 음식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키워드
길거리음식, 간식, 붕세권, 붕어빵이다
※ 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